영화, 좋아하세요? :)

늦은 저녁 맥주 한 캔을 곁들인 하루 한편의 영화, 그리고 수다.
영화 이야기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728x90

2005개봉 8

장르는 퍼즐 _ 머시니스트, 브래드 앤더슨 감독

# 0. ⓧ 버튼을 눌러서 조의를 표하십시오.        브래드 앤더슨 감독,『머시니스트 :: The Machinist』입니다.     # 1. 위키는 작품을 스릴러로 소개하고 있고 대부분의 관객 역시 그러하겠으나, 개인적으론 달리 해석한다. 이 영화의 메인 장르는 '퍼즐'이고 그 뒤로 호러, 액션, 어드벤처가 적절히 혼합된 것이라고 말이다. 물론 이렇게 들으면 번뜩 거부감이 들 것이다. '미스터리도 아니고 퍼즐은 뭐래. 무슨 게임도 아니고...' 그렇다. 필자는 크리스찬 베일이 살 빼느라 개고생 한 것으로 유명해진 영화를, 숄더뷰로 진행되는 3인칭 호러 퍼즐 게임의 시네마틱 모음이라 주장하려는 것이다. 사실 영화의 내러티브는 평이하다. 자수하고 광명 찾자가 전부다. 되려 작품의 매력은 공포의 주체와 ..

하책의 최대치 _ 콘스탄틴, 프란시스 로렌스 감독

# 0. 빌어먹을 악마에게 법규 날리는 한 해 보내시길        프란시스 로렌스 감독,『콘스탄틴 :: Constantine』입니다.     # 1. 상책은 근사한 세계 위로 멋들어진 이야기를 펼쳐내는 것이다. 중책은 좋은 이야기를 만들지 못했더라도 세계만큼은 매력적인 경우나, 혹은 그 역이다. 하책은 고유의 이야기도 세계도 구축하지 못한 채 설정 놀음에 빠지는 것인데, 콘스탄틴은 명백히 하책의 영화다. 영화를 본 관객들이라면 누구나 알다시피 이야기라 부를 만한 것은 없다. 전개는 처음부터 끝까지 지독할 정도로 설정 나열에 의존한다. 비장한 기독교적 주제와 기괴한 오컬트적 소재와 수려한 주인공의 미모를 끌어다 비벼보려 하지만, 본질은 그런 것들로 가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끊임없이 가라앉는 영화를 다..

Film/SF & Fantasy 2025.01.02

원리를 찾아라 _ 레이어 레이크, 매튜 본 감독

# 0. 넘는 것과 넘겨지는 것의 차이        매튜 본 감독,『레이어 케이크 :: Layer Cake』입니다.     # 1. 마약과 혈흔이 낭자한 누아르의 제목은 레이어 케이크. 여러 겹의 시트 사이에 크림이나 잼을 쌓은 익숙한 디저트다. 영화는 원작자 J. J. 코널리가 이름 붙인 것처럼, 감독이 제작자로 참여했던 가이 리치의 초기작들이 그러했던 것처럼 복잡 다난한 레이어가 켜켜이 쌓여 있는 듯하다. 범죄 조직의 내부 구조가 그러하고, 여타 조직들 간의 관계도 그러하다. 사건은 각기 다른 파편화된 소동의 적층으로 연계되어 있고, 플롯은 그것을 다시 최대한 얇게 저며 쌓아 나가는 방향으로 흘러간다. 감독은 주인공의 이름을 숨긴다. 크레디트에서조차 XXXX로 표기하는 건 명백한 의도다. 통상적인 영..

이카루스의 거울 _ 리플리스 게임, 릴리아나 카바니 감독

# 0.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릴리아나 카바니 감독,『리플리스 게임 :: Ripley's Game』입니다.     # 1. 패트리샤 하이스미스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심리 스릴러다. 맷 데이먼의 (1999)가 알랭 들롱의 (1960)의 그늘에 가려진 수작이라면, 이 작품은 그 그늘에조차 들어가지 못한 비운의 작품이라 할 수 있겠으나, 제법 흥미로운 중년의 톰 리플리를 만날 수 있다는 면에서 일정한 의의가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주연은 존 말코비치가 맡았다. 사근사근한 목소리의 톰 리플리는 50대 중반의 세련된 사기꾼이자 냉혈한 살인마다. 오프닝의 사건을 통해 한몫을 챙긴 톰은 이탈리아 시골에서 은퇴 생활을 즐기는 듯 보이지만 내면엔 갈등과 복잡성이 가득하다. 하이스미스의 원작들이..

서글픈 정신승리 _ 나이트 플라이트, 웨스 크레이븐 감독

# 0. 고도로 발달한 정신승리는 정신치료와 구분할 수 없다.        웨스 크레이븐 감독,『나이트 플라이트 :: Red-Eye』입니다.     # 1. 와 로 유명한 웨스 크레이븐의 2005년 작이다. 한평생 호러만 깎은 장인의 이름에 차기작 역시 정통 호러를 예상했으나 의외로 전형적인 범죄 액션 스릴러물이었다. 그를 좋아하던 일부의 팬들은 실망을 표하기도 했는데 사실은 명예로운 죽음이라 할 수 있다. 장르 선택과 별개로 완성도부터 부실한 작품이었기 때문이다. 스릴러를 논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영화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창작하지도, 충분한 긴장감을 연출하지도 못한다. 흔한 비행기 테러의 클리셰를 따라가는 동안 사투는 지루한 버전의 로 전락한다. 리사(레이첼 맥아담스)의 행동은 최선이라기보다는 대책 없..

12월 26일 _ 유령신부, 팀 버튼 감독

# 0. 박싱 데이(Boxing Day) 또는 성 스테파노의 날은 크리스마스 다음 날(12월 26일)을 가리키는 말로, 많은 영연방 국가에서 크리스마스와 함께 휴일로 정하여 성탄 연휴로 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영국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공휴일로 정하고 있다. 독일, 스웨덴 등에서는 크리스마스 다음날이라고 단순하게 부른다. - 위키백과 [박싱데이] 중에서 - '팀 버튼' 감독, 『유령신부 :: Corpse Bride』입니다. # 1. 헨리 셀릭의 을, 팀 버튼의 내면을 구성하는 다양한 자아의 충돌이라는 관점에서 소개드린 바 있습니다. 행복(크리스마스)을 선사하는 산타클로스가 되고 싶었던 팀 버튼(잭 스캘링턴)이 사람들에게 선택받지 못하자 분노(우기부기)에 휩싸이지만, 결국 분노를 제압하고 내면 깊은 ..

Film/Animation 2022.01.15

고독의 書 _ 토니 타키타니, 이치카와 준 감독

# 0. 한 줌의 수분도 없는 모래장. 모래의 바다에서 태어난 배. 그 배를 홀로 만드는 아이. 아이를 스쳐 지나는 아버지와, 아버지의 걸음에 눈길 한번 주지 않는 아들. 화사한 꽃들 가운데 꽃잎 한 장만 공들여 그려진 그림. 그 한 장을 바라보고 주목하고 관찰하는 아이. 의아한 그림에 아이의 이름을 부르는 선생님과, 선생님이 자신을 왜 부르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아이. 늦은 저녁 홀로 타는 자전거, 쓰러질 듯 위태롭게 하지만 자유롭게 자전거를 모는 아이. ‘토니 타키타니’. ‘토니 타키타니’의 본명은 정말로 ‘토니 타키타니’입니다. '이치카와 준' 감독, 『토니 타키타니 :: トニー滝谷』입니다. # 1. 까슬한 책장을 조심스레 넘기는 것만 같은 영화입니다. 건조해 만지는 것만으로도 손끝이 찢어질 ..

Film/Drama 2020.01.08

폭주하는 해방감 _ 친절한 금자씨, 박찬욱 감독

# 0. 최고의 한국영화가 뭐라 생각하냐 물으신다면 아무래도 을 고를 듯합니다. 하지만 과 중 뭘 보겠느냐 물으신다면 라 답할 겁니다. 만약 박찬욱 최고의 영화가 뭐냐 물으신다면 역시 를 꼽을 듯합니다. 하지만 박찬욱 감독 영화 중, 아니 한국 영화 통틀어 '가장 좋아하는 영화'가 뭐냐 물으신다면 전 이 영화를 고르겠습니다. '박찬욱' 감독, 『친절한 금자씨 :: Sympathy for Lady Vengeance』입니다. # 1. 의 주제 의식에 관한 해석은 대충 구글링만 해 봐도 징글징글하게 많이 나옵니다. ⑴ 금자의 뿌리 깊은 죄책감과 그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욕구에 대한 탐구라든지, ⑵ 천사는 내가 부를 때만 나타난다는 둥의 편의적이고 왜곡된 종교관이라든지, ⑶ 야매 미용실에서의 기도 후 개의 몸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