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좋아하세요? :)

늦은 저녁 맥주 한 캔을 곁들인 하루 한편의 영화, 그리고 수다.
영화 이야기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728x90

Documentary/Historical 5

짓궂은 우연 _ 마리우폴에서의 20일, 므스티슬라우 체르노우 감독

# 0. 여기 독재자가 있다.        므스티슬라우 체르노우 감독,『마리우폴에서의 20일 :: 20 Days in Mariupol』입니다.     # 1. 한때나마 유능하고 마초적인 모습으로 어필했던 그는 총기를 잃은 지 오래다. 독재자는 편협하고 극단적이며 반복적이고 농축적인 정보만을 탐닉한다. 내뱉는 어휘와 행동들은 이미 정상의 범주를 크게 벗어나 있다. 몇몇의 담화나 전언에서 확인되는 세계에 대한 인식은 망가져도 단단히 망가져 있다. 암약하는 악을 처단해 민족을 지키는 것을 자신의 사명이라 주장하지만, 동의하는 사람은 전체주의에 대한 황망한 향수를 가진 몇몇의 노년층 극단주의자들뿐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겐 그의 존재야 말로 민족의 안녕을 위협하는 가장 치명적인 악이다. 주변에는 직언할 사람 없이..

거미와 아기새 _ 베나지르를 위한 세 개의 노래, 엘리자베스 미르자에이 감독

# 0. 뭐라도 해 봐야지. 쟤네들은 왜 저렇게 사는 거야?        엘리자베스 미르자에이 / 굴리스탄 미르자에이 감독,『베나지르를 위한 세 개의 노래 :: Three Songs for Benazir』입니다.     # 1. 체념의 미로 속에서 길 잃은 거미다. 좌절의 철장에 갇힌 아기새다. 하늘을 부유하는 감시선은 당사자에겐 고압적인 현실, 관찰자에겐 무신경한 타인이다. 뭐라도 해 봐야지. 쟤네들은 왜 저렇게 사는 거야?라는 속 편한 이야기를 잔혹한 현실을 지켜본 카메라가 물리치는 덴 긴 시간이 필요치 않다. 아프가니스탄 카불, 전쟁 피난민 캠프의 샤이스타와 베나지르는 사랑의 결실을 품은 다정한 신혼이다. 흙벽돌을 만들어 파는 청년은 가난을 벗어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 국군에 지원하려 하지만 녹록지 ..

조슈아 영웅전 ⅱ _ 우산혁명, 조 피스카텔라 감독

조슈아 영웅전 ⅰ _ 우산혁명, 조 피스카텔라 감독 # 0. 오프닝부터 분위기를 잡고 들어갑니다. 검은 화면, 쏟아지는 박수소리, 절절한 구호와 이들을 노려보는 경찰들이 연이어 카메라에 담깁니다. 1500여 명의 시민 앞에 어른들은 대체 다 어디 있 morgosound.tistory.com # 5. 닷새째 되는 날 해 뜰 무렵 동쪽에서 나타난 '간달프'가 몰고 온 로한의 기사들처럼. '조슈아'는 '렁춘잉'의 국민교육이란 군대를 멋지게 물리칩니다. 하지만 말씀드린 대로 그는 중간보스에 불과합니다. 우리는 '사루만'이 아니라 '사우론'을 물리쳐야 하죠. 누가 뭐래도 이 사단의 끝판왕은 '시진핑'입니다. 감독은 '렁춘잉'이 폐퇴하기 무섭게 긴장감을 한껏 조성하는 장중한 음악과 함께 끝판왕을 소개합니다. 늙고 ..

조슈아 영웅전 ⅰ _ 우산혁명, 조 피스카텔라 감독

# 0. 오프닝부터 분위기를 잡고 들어갑니다. 검은 화면, 쏟아지는 박수소리, 절절한 구호와 이들을 노려보는 경찰들이 연이어 카메라에 담깁니다. 1500여 명의 시민 앞에 어른들은 대체 다 어디 있느냐 일갈하는 깡마른 소년, 우리는 지금 시대의 문제를 다음 세대에까지 넘기지 않겠다 선언하는 소년이 연단에 서 있습니다. 감독은 지금의 시위를 둘러싼 문제가 이해관계 충돌의 정치 쟁점이 아닌 과거와 미래의 삶의 방식을 결정하는 가치의 문제라 규정합니다. 연설이 끝나기 무섭게 광장으로 쏟아지는 시민들에게서 강렬한 현장의 에너지를 전달받습니다. 거부할 수 없는 시대적 소명과, 그럼에도 결코 쉬운 길은 아니라는 것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합니다. 감독은 오프닝을 통해 소년으로 대표되는 시민들의 인식과 제작진의 인식이 합..

쉬운 정답, 어려운 풀이 _ 아우슈비츠의 회계원, 매튜 쇼이쳇 감독

# 0. 1명이 마약을 하면 그 1명을 구속하면 됩니다. 10명이 100명이 1000명이 마약을 해도 체포하고 구속하면 되죠. 하지만 그 수가 10만 명, 100만 명, 1000만 명에 달해도 그럴 수 있을까요? 사람이 그렇게까지나 불어나버린 상황에서 무작정 모두를 범죄자로 삼아 체포하려 들면 사회는 급격하게 음성화 되고 부작용을 낳게 될 겁니다. 이런 문제에 직면한 경우 보통 사회는 문제의 해악과는 별개로 해당 사안을 그냥 끌어안아버리려 합니다. 대마나 담배나 별 차이가 없음에도 대마는 불법으로 삼고 담배는 국가가 판매하는 이유죠. 사회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그렇게 정의롭지 않습니다. 같은 값이면 올바르려 노력하기는 하겠지만 그 올바름이 사회가 스스로를 유지하려는 본능에 우선하지는 않죠. 간혹 올..